[스타트UP스토리] 안현석 위미트 대표, '새송이 버섯'으로 치킨맛 나는 프라이드 개발 위미트 프라이드를 요리한 모습/사진=위미트 "스펀지를 씹는 기분이야, 윽~"' 콩고기'가 우리나라에 등장한 것은 대략 1970년대다. 당시에도 '식물성 고기'가 유행했다. 일부에선 콩고기를 '대체육 1세대'라 부른다. 하지만 몇 점 먹어보다 젓가락을 내려놓기가 십상이었다. 씹히는 식감도, 맛도 고기가 아닌 모조품인 게 분명했던 탓이다. 이런 낭패를 본 경험이 있다면 다시 한번 젓가락을 들어봄이 어떨까. 이번엔 '버섯고기'다. 안현석 위미트 대표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계란 파동'에서 보듯 대체육 개발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우리 먹거리 생산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때가 됐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달걀 파동이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의한 살처분, 시장 수요 증가 등 복합적 원인에 의해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한다. 안 대표는 여기에 더해 "공장에서 찍어내듯 자동화된 닭 생산 시스템이 기후변화 등 강력한 외적 변수로 인해 이전처럼 작동하지 않는 게 핵심"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폭염으로 양계장 내부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니까 생육발달이 이전 같지 않다"면서 "이런 환경의 변화가 육계업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달걀 가격에도 반영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 닭고기 생산방식, 지속 어렵다"==최근 대체육은 콩고기와 달리 고기와 유사한 식감과 풍미로 각광받는다. 실제 햄버거 패티를 대체육으로 만드는 미국 스타트업 '비욘드미트'가 나스닥에 상장할 정도로 시장의 열기가 뜨겁다. 고기라면 사족을 못쓰던 안 대표가 돌연 채식주의자가 된 것은 미국 유학시절 채식에 우호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아서다. "미국은 마트에 가면 비건(채식주의자) 코너가 따로 운영되고 식당에도 비건옵션이 잘 갖춰져서 채식을 시작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안 대표도 유학시절 대체육으로 만든 임파서블버거 패티를 먹어보곤 "언빌리버블"(unbelievable·믿을 수 없는 일)을 수차례 외쳤다고 한다. 미생물 등의 생명공학을 전공한 그가 진로까지 바꿔가며 뛰어들 정도로 대체육 개발시장은 매력적이었다고. 안 대표는 '치킨공화국' '치느님' 등의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가장 친숙한 닭고기에 먼저 주목했다. 시장조사 결과 국내 닭고기 생산방식은 지속가능하지 못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조류인플루엔자가 주기적으로 창궐했고 국내 양계농가의 항생제 사용량은 선진국 대비 8.2 배 수준으로 항생제 과다사용에 따른 먹거리 안전 이슈도 제기됐기 때문이다. 2017년엔 '살충제계란 파동'까지 겪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