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news

채식도 맛있어야 한다…‘새로운 고기’의 도전


안현석 대표는 기존 축산업이 한계에 직면하는 시기가 오면, 대체육이 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미트를 대체육이라는 표현보다는 ‘새로운 고기’로 알리고 싶다고 말한다.   ©중기이코노미



최근 ‘채식’을 선택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분야가 ‘대체육’ 산업이다. 

식물 단백질로 고기와 비슷한 맛을 구현하거나, 실험실에서 동물의 줄기세포를 배양해 고기로 만드는 대체육은 탄소 중립 시대의 유망기술이기도 하다. 


문제는 맛이 없다는 편견이다. 

씹었을 때 ‘팡’하고 터지는 육즙의 시원함과 쫀득한 식감은 여전히 기술의 한계로 인해 완벽히 구현하지 못한다. 

위미트(WEMEET)는 이러한 고민에서부터 시작했다. 

채식을 선택한 사람에게 ‘맛있는’ 음식을 다양한 경로로 먹을 권리를 부여하겠다는 것이 위미트의 철학이다. 


채식주의자에게도 치킨·탕수육은 언제나 ‘국룰’


채식주의자는 ‘고기’를 먹을 때의 맛있는 경험을 포기한 사람이라는 오해를 받기 쉽다. 

‘맛있는 요리’의 기본 식재료는 고기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미트의 안현석 대표는 이 생각이 엄연한 편견이라고 강조한다. 


“채식을 실천한다고 해서 기본적으로 맛있는 음식에 대한 열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맛있으면서 다양한 음식을 경험하고 싶은 것은 지극히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스러운 욕구죠. 

고기를 안 먹기로 ‘선택’했다고 해서 치킨이나 탕수육과 같은 음식을 포기하겠다는 의미는 아니거든요.”


안 대표 역시 채식을 지향한다. 2018년부터 채식을 시작했는데, 그 계기는 여자친구 때문이었다. 

당시 동물권, 환경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접한 후 식습관을 바꿔보기로 결심한 여자친구를 응원하는 마음에 함께 채식을 시작했다고 한다. 

미국에서의 유학 생활도 식생활에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됐다. 


[원문보기]